티스토리 뷰
계산기의 MC,MR,M-,M+는 연산순서때문에 생깁니다.
공학용계산기에는 그런 기능이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.
MC는 메모리 클리어 : 메모리를 지운다는 뜻이죠
MR은 메모리 리드 : 메모리값을 읽는다는 뜻입니다.
M-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뺀다는 뜻
M+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더한다는 뜻입니다.
만일
3x2+5x4=26의 계산을 한다면
공학용 계산기의 경우는 계산식을 쓰고 한꺼번에 계산 가능하지만
일반 작은 계산기의 경우 연산부호를 누를때마다 계산결과가 나오기때문에
3X2+5X4를 한다면
3X2=6
6+5=11
11X4=44라는 틀린 값이 나오게 됩니다.
그럴때는
먼저 MC를 눌러 메모리 값을 지우고
3X2를 해서 6이 나오면 M+을 눌러 6이라는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게됩니다.
다음에 5X4를 해서 20이란 값이 나오면 M+를 눌러 기존메모리 값에 계산 결과를 더합니다..
다음에 메모리 값을 읽은 MR을 누르면 26이란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.
공학용계산기에는 그런 기능이 별로 필요가 없습니다.
MC는 메모리 클리어 : 메모리를 지운다는 뜻이죠
MR은 메모리 리드 : 메모리값을 읽는다는 뜻입니다.
M-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뺀다는 뜻
M+는 메모리값에 계산 결과를 더한다는 뜻입니다.
만일
3x2+5x4=26의 계산을 한다면
공학용 계산기의 경우는 계산식을 쓰고 한꺼번에 계산 가능하지만
일반 작은 계산기의 경우 연산부호를 누를때마다 계산결과가 나오기때문에
3X2+5X4를 한다면
3X2=6
6+5=11
11X4=44라는 틀린 값이 나오게 됩니다.
그럴때는
먼저 MC를 눌러 메모리 값을 지우고
3X2를 해서 6이 나오면 M+을 눌러 6이라는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게됩니다.
다음에 5X4를 해서 20이란 값이 나오면 M+를 눌러 기존메모리 값에 계산 결과를 더합니다..
다음에 메모리 값을 읽은 MR을 누르면 26이란 값이 나오는 것입니다.